티스토리 뷰
서울 강남과 수도권 및 지방의 부동산 가격 양극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최근 서울 부동산 매매가격이 상승 모멘텀을 보이는 반면에 수도권과 지방의 부동산은 하반기 추가 하락 우려가 있다.
<목차>
1.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 하지만 강남 외 지역 침체 지속
2. 서울 아파트 가격 부동성원의 주간 동향 분석
3. 아파트 가격 전망 및 하반기 집값 하락에 대한 예측
1.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 하지만 강남 외 지역 침체 지속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5주 연속으로 상승하고 있지만, 강남권 이외의 지역은 여전히 가격 침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거래량 역시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던 시기보다 부족한 수준입니다. 이로 인해 전국적으로 지방의 하락 폭이 확대되어 수도권과 지방 간의 집값 양극화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2. 서울 아파트 가격 부동성원의 주간 동향 분석
일부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에는 전국 집값이 추가로 하락할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한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6월 셋째 주(19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04% 상승하여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이전 달 넷째 주부터 시작된 상승세로서 해당 기간 동안 총 0.18% 상승하였습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아직 이러한 상승세가 본격화되었다고 단정하기엔 이르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강남권을 제외한 다른 서울 내 권역들은 여전히 아파트 가격이 하락이나 보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실제로 강남4구(강남, 서초, 송파, 강동구)가 속한 동남권 아파트의 매매가격 변동률은 4월 셋째 주 이후로 10주 연속 상승하여 1.02% 상승하였지만 이와 달리 서남권(-0.50%), 동북권(-0.47%), 서북권(-0.33%), 도심권(-0.19%) 등의 지역은 하락을 보였습니다.
거래량 또한 상승세로 보이지만 아직은 이른 단계에 있다고 분석되고 있습니다. 5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3,292건으로 기록되었으며, 지난해보다는 증가하였지만 2020년과 2021년의 부동산 호황기보다는 여전히 적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저점 인식 때문에 강남권이나 마포, 용산 등의 상급 지역으로 이동하려는 수요자들이 늘면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일 뿐 전반적인 시장이 살아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라며 "서울 내 아파트 거래량 또한 이전의 부동산 호황기와 비교하였을 때 아직까지는 상승 모멘텀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이어서 "올 하반기에는 은평구, 강남, 동대문 등 다양한 지역에서 입주물량이 많이 출시될 예정이기 때문에 입주 여파로 인한 가격 하락 압력이 생길 수 있다"라고 전망하였습니다. 현재 시장에서의 매수심리도 여전히 위축된 상황입니다. 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4.6으로 집계되었으며, 이 수치가 기준선인 100보다 낮을수록 팔려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아파트 가격 전망 및 하반기 집값 하락에 대한 예측
이에 따라 하반기에는 집값이 추가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습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최근 개최된 '2023년 하반기 건설·부동산 경기 전망 세미나'에서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하반기에 0.7%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연간 하락률은 4.8%로 상저하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따라서 올해의 전망치는 작년의 연간 하락률인 4.7%와 마찬가지 수준입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강남권 아파트 가격은 하락했던 기간에 큰 폭으로 하락한 방향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최근의 상승세가 더 크게 나타나는 기저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라며 "하반기에는 입주물량이나 아파트 미분양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동산 시장이 본격적인 상승세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하였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5주 연속 상승하였으나, 강남권 이외의 지역들은 가격 침체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파트 가격이 상승할 때와 비교해 거래량도 현저히 부족해서 전국적으로 지방의 하락 폭이 확대되고 있죠. 어떤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에 전국 집값이 추가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도 마찬가지로 부동산 호황기와 비교해 상승모멘텀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했습니다. 올 하반기에는 여러 지역에서 입주물량이 쏟아질 예정이기 때문에 가격 하락 압력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올 하반기에 0.7% 하락하는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다만 올해의 전체 하락률은 작년에 비슷한 수준인 걸로 보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부동산 시장 참가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지금은 시장 전반적으로 주시하면서 미래를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니버스의 부동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공인중개사 시험 - 반사회적 법률행위 (0) | 2023.08.31 |
---|---|
헷갈리는 제1종 근린생활시설과 제2종 근린생활시설 한방 정리! (0) | 2023.07.28 |
산지관리법의 대하여 알아보자! (보전관리, 준보전관리 구분) (0) | 2023.07.24 |
최근 부동산 시장 분석 및 전망 (0) | 2023.07.11 |
부동산시장의 활기를 되찾아야할 시기, 정부의 완화 정책 필요성 (0) | 2023.06.26 |